자동차세를 납부하란 고지서가 날아오면 새삼스럽게 자동차세가 지방세임을 알게 됩니다. 어떤 기준으로 우리가 내는 세금이 지방에서 쓰이는지 궁금해졌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방세 납부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목차
▽ 지방세란?
▽ 지방세를 납부하자!
▽ 증명서 발급하기
【 지방세란? 】
지방세란 지방자치단체가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요에 충당하기 위하여 주민에게 부과, 징수하는 조세를 의미합니다. 이런 점에서 국가가 국가의 재정수요에 충당하기 위해 부과, 징수하는 국세와 차이가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세법에 정하는 바에 의하여 지방세를 부과, 징수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의 종류에는 취득세, 등록면허세, 지방교육세,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 등이 있고, 원칙적으로 다른 공과금과 기타의 채권에 우선하여 징수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란?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요 충당을 위해 부과, 징수하는 조세
→ 다른 공과금, 기타 채권에 우선하여 징수 가능
【 지방세를 납부하자! 】
지방세를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는 사이트는 위택스입니다. 행정기관 또는 금융기관에 가지 않고 집이나 사무실에서 지방세를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위택스를 조회해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를 납부하기위해 홈페이지에서 납부하기 - 지방세를 선택하거나 화면 중간의 지방세납부 메뉴를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공동인증서도 필요하고 필요에 따라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됩니다.
로그인 후엔 바로 지방세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 또는 법인의 경우 주민번호 또는 법인번호, 사업자 번호 등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조회기간을 선택하고 검색을 하면 부과된 세금과 금액, 납기일, 관할 자치단체, 전자납부번호 등이 조회됩니다.
조회된 지방세는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를 통해 납부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납부를 신용카드로 할 경우 납부 후에는 신용카드 승인취소가 불가능한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납기일자가 지난 것은 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지방세 납부방법
→ 위택스 - 회원가입/로그인 - 납부하기 - 지방세
→ 지방세 조회 - 선택 납부 - 납부버튼(계좌이체/신용카드/간편결제)
【 증명서 발급하기 】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지방세납부증명서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때는 정부24 사이트에서 납부증명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자주 찾는 서비스에 지방세 납세증명 메뉴가 있습니다. 다행히 발급 수수료는 없습니다.
약관 동의 후 신청내용을 입력하고 수령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신청내용 중 사용목적에는 대금수령, 해외이주, 부동산 신탁등기, 그 밖의 목적 중 선택하면 됩니다. 수령방법은 집에 프린터가 있다면 온라인 발급이 편하겠죠? 민원 신청하기 클릭 후 출력합니다.
▶지방세 납부증명서
→ 정부24에서 발급 가능(수수료 무료/공동인증서 필요)
→ 지방세 납세증명 - 약관 - 신청내용 - 수령방법 - 민원신청하기
지방자치단체가 원활한 행정활동을 위해서 자주적으로 그 재원을 조달하고 관리할 수 있는 권리능력을 자치재정권이라고 합니다. 이 자치재정권의 핵심은 바로 지방세일 것입니다. 우리의 지방세 납부가 지방자치단체의 원동력이 된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트렌드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토스 가격 파악하기 (0) | 2021.02.07 |
---|---|
콜레스테롤 낮추는 방법 대공개 (0) | 2021.02.04 |
그랜저 하이브리드 단점 요약 (0) | 2021.02.03 |
그랜저 신형 핵심요약 (0) | 2021.02.02 |
혈압 정상수치 체크하자 (0) | 2021.02.01 |